코너별 보기
   daesoon.org  
대순137년(2007) 3월

이전호 다음호

 

도전님 훈시 종단소식 상제님의 발자취를 찾아서(4) 교리소개 돋보기 답사기 청계탑 『대학』에 대하여(4) 독자코너 대학생 코너 수기 대원종 기자탐방 포토에세이 인물소개 아름다운 세시풍속 고사 한마디 금강산이야기 종교산책 대순논단 철학과의 만남 영화 속으로 이달의 책 & 십자말 맞추기 알립니다

아름다운 세시풍속 : 영등(靈登)맞이

영등(靈登)맞이

 

 

글 교무부

 

▲ 신비의 바닷길. 전라남도 진도군 고군면 회동리와 의신면 모도리 사이 약 2.8km가 조수간만의 차이로 수심이 낮아질 때, 바닷길이 40여 미터의 폭으로 바다속에 만들어 진다.

 

  조선 초기 무렵 ‘손동지’라는 사람이 제주도로 귀양을 가는 길에 풍랑을 만나 회동마을로 표류해 와 살게 되었다고 한다. 당시 이 마을은 호랑이의 침해가 심해 호동(虎洞)이라고 불렸다. 200여 년 동안 이 마을에서 살던 손동지의 후손들은 호환(虎患: 호랑이에게 당하는 화)이 더욱 심해지자 뗏목을 만들어 타고 지금의 모도(바다가 갈라지는 앞 섬)로 피신했다. 그런데 황망(慌忙)중에 ‘뽕(성이 봉씨)’이라는 할머니를 마을에 남겨둔 채 떠나오고 말았다.

  호동마을에 홀로 남은 뽕 할머니는 용왕에게 가족을 만날 수 있게 해 달라고 모도에서 가장 가까운 바닷가의 바위에 올라가 빌었다. 매일 기도를 드리던 중 2월 그믐께 뽕 할머니의 꿈에 용왕이 나타나 “내일 바다에 무지개다리를 놓아 줄 테니 그 다리를 타고 바다를 건너가라.”고 하는 것이었다.

  다음날 뽕 할머니는 여느 날과 마찬가지로 바위 위에 엎드려 기도를 드리고 있었는데, 갑자기 뽕 할머니가 엎드린 바위와 그곳에서 가장 가까운 모도의 산기슭을 잇는 바닷길이 열리는 것이 아닌가. 이 광경을 본 모도에 있던 자손들은 징과 꽹과리를 치면서 뽕 할머니를 찾기 위해 바다를 건너왔다. 기진맥진하여 바위에 엎드려 있던 뽕 할머니는 자손들을 보자 “나의 기도로 바닷길이 열려 너희들을 만났으니 이젠 죽어도 한이 없다.”는 유언을 남긴 채 숨을 거두고 말았다.

 

  위의 전설은 남해안의 진도에서 전해져 오는 ‘영등 뽕 할머니’에 대한 이야기이다. 당시에 사람들은 ‘뽕 할머니의 소망이 바닷길을 열고 할머니의 영혼이 등천하였다’하여 ‘영등(靈登)살’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매년 회동과 모도에서 제단을 차리고 영등제를 지냈다고 하는데, 사랑을 이루지 못한 사람이 제사를 지내면 ‘소원성취’ 한다는 전설도 전해져 오고 있다.

  이런 영등제는 ‘영등맞이’라고도 하는데, 천계에 살고 있다가 음력 2월 초하룻날에 지상에 내려오는 영등할머니를 맞아들이기 위해 제사를 모신다. 이때 영등굿, 제주칠머리 당굿 등의 행사가 열린다.

영등할머니는 딸이나 며느리를 데리고 내려 왔다가 3일, 15일 또는 20일에 하늘로 올라간다고 하는데, 이런 신앙은 주로 영남 지방과 제주도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

  영등할머니가 인간 세상에 내려올 때 딸을 데리고 오면 일기가 온화하여 걱정되는 일이 없지만, 며느리를 데리고 올 때에는 비바람이 몰아쳐 농가에 피해를 입힌다고 한다. 이는 인간관계에 있어 친정어머니와 딸은 사이가 좋지만 시어머니와 며느리 사이에는 불화와 갈등이 종종 있는 것에 빗대어 일기의 변화를 짐작한 결과이다. 일기가 불순하면 농작물이 피해를 입고 일기가 순조로우면 풍작을 바랄 수 있으니, 영등할머니는 농작의 풍흉과 관계되는 신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1년 중 백중사리(1년 중 가장 큰 사리)와 함께 조수간만의 차이가 가장 큰 시기가 바로 이때라고 하며 양력으로는 보통 3월경에 해당한다. 어부들은 이 기간 동안 출어(出漁)를 삼가 하여 일을 쉬었다고 한다.

 

▲ 뽕 할머니 기원상(전라남도 진도군 고군면 회동리 소재)

 

 

  이와 같이 농촌이나 어촌에서는 영등신이 지상에 있는 동안 우순풍조(雨順豊調)01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매일 아침 정화수를 작은 상에 받쳐 장독대에 올려놓고 빌며, 초하룻날에는 고사를 지낸다. 풍재(風災)를 면하기 위해 영등할머니와 그 며느리에게 제(祭)를 올리는데, 이를 ‘바람 올린다’고 한다. 이 외에도 2월 초하루에 햇살이 밝으면 ‘불 영등 드린다’고 하고, 비가 오면 ‘비 영등 드린다’고 해서 날씨의 변화에 따라 제를 올렸다고 한다.

  조선조 순조 때 홍석모(洪錫謨)가 편찬한 『동국세시기』에 “음력 2월 초에는 집집마다 신에게 제사하는 풍속이 있는데, 이를 영등이라 한다. 신이 무당에게 내려서 동네로 나돌아 다니면 사람들은 다투어 이를 맞아다가 즐긴다.”라고 전한다.

  영등할머니가 인간 세상에 있는 동안 민간에서는 대나무에 오색헝겊을 달아 사립문에 매달고 부정한 사람의 출입을 금하며, 창호지도 바르지 않고 고운 옷을 입는 것도 삼간다. 또 논밭갈이는 물론, 땅을 다루는 일이나 쌀을 집안에서 밖으로 내는 일, 물건을 사고 파는 일, 심지어는 빨래까지도 금하는데 만일 빨래를 하게 되면 빨래에서 구더기가 난다는 속설도 전해 온다. 한편, 영등할머니가 하늘로 오르는 날 비가 오면 풍년이 들고 조금 흐려도 길하다고 믿기도 했다.

  이러한 풍속은 우리 옛 조상들에게 한 해의 풍년과 집안의 태평함을 기리기 위한 것이다.

 

 

▲ 전라남도 진도군 고군면 회동리 소재

 

 

 


01 비가 때맞추어 알맞게 내리고 바람이 고르게 분다는 뜻으로, 농사에 알맞게 기후가 순조로움을 이르는 말.

관련글 더보기 인쇄

Copyright (C) 2009 DAESOONJINRIHOE All Rights Reserved.
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강천로 882 대순진리회 교무부 tel : 031-887-9301 mail : gyomubu@daesoon.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