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너별 보기
   daesoon.org  
대순137년(2007) 12월

이전호 다음호

 

도전님 훈시 종단소식 상제님의 발자취를 찾아서(14) 교리소개 『전경』 속 역사인물 도인탐방 인물소개 고사 한마디 금강산 이야기 Q&A 게시판 기행문 수기 독자코너 대순학생회 대학생 코너 포토에세이 다시 보는 우리문화 철학과의 만남 영화 속으로 종교산책 이달의 책 & 십자말 맞추기 알립니다

다시 보는 우리문화 : 태극기를 바라보며

태극기를 바라보며

 

 

글 연구위원 김태윤

 

 

 

  한때 ‘국기하강식’을 했던 시절이 있었다. 길을 가다가도 ‘국기에 대한 맹세’가 방송되면 사람들은 적막 속에 태극기를 향해 가슴에 손을 올렸다. 하루 동안의 고된 임무를 마치고 내려오는 태극기를 바라보면서 말이다. 이렇게 태극기는 국가의 존엄성과 위엄의 대상으로 우리 위에 자리 잡고 있는 가깝고도 먼 상징이었다. 그래서일까, 태극기를 향해 서 있었던 1분 동안의 시간도 길게만 느껴졌던 것이….

  최근 ‘국기에 대한 맹세’구절이 부분 수정01이 되었다는 기사를 접해 과거의 기억이 다시 떠오른다. 요즘 국경일에는 각 가정에 태극기가 있어야 할 자리에 없다. 우리들의 무관심과 이해부족이 그 자리를 채워주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 우리에게 태극기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좀 더 다가가 보자.

 

 

태극기의 등장

  태극기는 우리나라를 상징하며 대표하는 국기이다. 일생을 살아가는 한 개인도 굴곡이 없지 않듯이 태극기가 오늘날까지 거쳐 온 역사에도 애환이 없을 수 없다. 그 유래를 거슬러 올라가 보면 고종 13년(1876년 1월)에 있었던 ‘운요호 사건’과 만나게 된다. 당시 일본은 자국의 이익을 위해 강화도 초지진에 군함 운요호를 정박시켜 조선에 문호 개방과 통상을 요구했다. 이에 조선 수비병대가 즉각 대포를 쏘며 대항을 했는데 군함에 게양된 일본기가 불타버리고 만 것이다. 이것은 이듬해 강화도 회담에서 일본이 일본국기가 게양02되어 있는데도 포격을 했다는 이유로 조선에 트집을 잡는 구실이 되었다. 당시 조선에는 국기라는 말조차도 없었으니 일본이 조선정부를 몰아붙여도 속수무책이었다.

  조선정부가 국제관계에서 국기가 필요하다는 것을 절실히 느끼게 되자, 이를 눈치 챈 청나라는 황준헌이라는 사신을 보내 청나라의 용기(龍旗)03 를 본뜬 국기를 전국적으로 사용하라고 압박을 가해왔다. 그후 국기 제정을 위해 조선과 청은 우리 측에는 이응준, 청나라 측에는 마건충으로 양국 위원을 임명하게 되었으나 진행은 지지부진했다. 그러다가 임오군란(壬午軍亂)04으로 인해 일본이 제시한 제물포 조약을 마무리짓기 위해 수신사로 박영효가 일본으로 가게 되면서 우리가 알고 있는 태극기가 역사에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박영효가 제작했다는 태극기는 그 실물이 현재 전해오지 않고 있다.05

  그때마다 역사의 변화를 담고 있는 태극기는 부분적으로 수정되기는 했지만 근본적인 변화는 없었다. 현재의 태극기는 1949년 10월 15일 문교부 고시 제2호로 공표된 이후 사용되고 있다. 당시 42인의 국기시정위원회는 수 차례 의논과 우여곡절을 겪고 나서 일제 36년 동안 가장 많이 사용된 국기의 도안을 국기로 결정했다.

  여기서 한 가지 더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 있다. 태극기라는 명칭이 처음부터 그렇게 불리지 않았다는 것이다. 당시 조선이라는 국호가 있었기 때문에 태극기가 아닌 ‘조선국기’로 불리었는데, 1919년 3월 1일 독립만세운동 때 일본이 알아차리지 못하게 하기 위해 ‘태극기’로 사용하자고 약속하면서 바뀌어 불리어져 쓰이던 것이 오늘에 이르고 있다.

 

 

▲ 태극기 관련 그림. 송명호, 역사 속의 태극기, p.3

 

 

1 1882102시사신보에 나타난 태극기

2 1885년 고종황제가 당시 외무담당 미국인 데니씨에게 하사한 태극기 현재 독립기념관에 전시되어 있다.

3 1896년 발행한 독립신문 제호에 도안된 태극기

4 1900년 파리박람회에 게양된 태극기

5 현재의 태극기. 194910월 제정됨

 

 

우주를 담고 있는 태극기

  태극기의 바탕은 흰색이다. 모든 빛을 합하면 흰빛이 되므로 태극기의 하얀 바탕은 결국 광명을 상징하면서도 우주만물이 존재하는 하나의 장, 즉 우주공간을 나타낸다. 이러한 밝음 가운데 중앙에는 우주만물의 근원인 태극(太極)이 역동적으로 그려져 있다. 그리고 사방에는 건괘(乾卦;하늘을 상징), 곤괘(坤卦;땅을 상징), 감괘(坎卦;물을 상징), 리괘(離卦;불을 상징)가 배치되어 있다. 태극은 이미 오래 전부터 동양에서 사용된 개념이다. 우주 만물의 근본을 말하는 태극은 양(陽)을 의미하는 빨강과 음(陰)을 의미하는 파랑으로 표현되어 있다. 혹자는 태극기에 여덟 개의 괘중에서 네 개만 들어 있어 우주의 이치를 모두 나타내지 못한다고 하지만 건곤과 감리의 성격을 이해할 때 4괘만으로도 우주의 근본과 우주변화의 원리 전부를 다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건곤이 모든 변화의 원리로서 우주본체라고 할 때 감리는 건곤의 원리를 생장염장(生長斂藏)이라는 운행 작용으로 실현해낸다.06 이처럼 태극기에 그려진 건곤감리는 본체(本體)와 작용(作用)으로서 우주의 이치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바로 이 점이 전 세계 어느 국기에서도 찾을 수 없는 우주변화를 담은 태극기만의 고유한 특징이다. 한편 태극기의 정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태극마크는 문양(文樣)으로 우리 주위에 잘 나타나 있다. 문양은 역사적인 상징을 나타내는 그림일 뿐만 아니라 사상도 담고 있다. 이러한 태극문양은 신비(神秘), 신성(神聖)의 부호로서 신라시대 이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태극문양을 사용한 중국과 우리나라를 비교해 보면 우리 나름대로의 독창성을 찾아볼 수 있다. 중국의 태극문양은 음과 양의 부분에 작은 원을 각각 넣고 주위에 8괘를 배치해 철학적인 면을 강조했다면 우리의 것은 이태극(二太極), 삼태극(三太極), 사태극(四太極), 오태극(五太極)으로 더욱더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다. 또한 우리 민족은 궁전과 관아의 대문에서부터 숟가락ㆍ그릇ㆍ패물 등의 일상생활에서까지 친숙하게 이 태극문양을 사용해 왔다. 특히 길상(吉祥)을 바라는 것에는 태극문양이 빠지지 않았다. 이렇듯 우리 민족은 태극과 같이 숨 쉬며 살아가면서 모든 만물에 태극이 갖추어져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처럼 태극기에 새겨진 태극문양은 우리 민족에게 생활과도 같은 친숙한 상징이었다.

 

 

우리 곁으로 다가온 태극기

  이렇게 일상생활에서 친숙하게 사용되었던 태극문양은 일제강점기 이후 생활에서 멀어졌다가 2002년 월드컵 때 다시 우리 곁으로 친숙하게 다가왔다. 우리는 월드컵때 한국의 이미지를 누구나 쉽게 연상할 수 있도록 태극기문양을 옷에, 얼굴에 그리며 ‘태극기패션’을 만들어 냈다. 대형 태극기가 경기장에서 손에서 손으로 움직일 때 ‘대한민국’의 구호는 전 국민의 입에서 입으로 공명(共鳴)되었다. 태극기의 깃발 아래 울고 소리치며 대한민국은 하나가 된 것이다. 우러러 봐야만 했던 태극기가 이제 우리 가슴속에 내려와 살아 숨 쉬기 시작한 것이다.

  모든 사물과 우리의 마음속에 있는 태극! 어쩌면 태극의 모습이 항상 우리 삶과 같이 있었던 것은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아무리 태극기에 우주의 이치가 있다고 한들 우리 마음에 살아있지 않은 태극기는 머나먼 곳에 위치한 상징일 뿐이다. 그러면 어떻게, 언제 태극기가 살아날 것인가? 우리의 마음 그곳에서, 마음이 움직이는 그 순간 태극이 발해 태극기의 진정한 가치는 나타난다. 우리가 나라사랑의 마음을 참답게 표출할 때 바로 우주의 변화가 시작되는 것이다. 태극기를 통한 나라사랑, 그 마음은 바로 우주의 마음이 된다. 지금 태극기를 바라보며 가슴 속에서 진정한 나라사랑을 느낄 때 태극기의 태극은 내 마음속에 자리 잡는다.

 

 

 

 

 

 

 


01 이 문구는 35년 만에 바뀌게 되는데 2007727일 공포시행되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나는 자랑스러운 태극기 앞에 자유롭고 정의로운 대한민국의 무궁한 영광을 위하여 충성을 다할 것을 굳게 다짐합니다.’

02 선박은 선미(船尾)에 해당국가의 국기를 게양하는 것이 국제법상 의무로 되어 있다. 해외여행을 할 때 여권이 필요하듯이 선박의 국기는 바로 여권과도 같은 기능을 한다. 엄격히 말하면 선박에는 이외에도 국기 게양권을 증명하는 국적증서도 가지고 있어야 한다.

03 황룡기는 마지막 황제인 부의가 퇴위를 당할 때까지 사용된 중국 최초의 국기로 청나라 말기 제정되었다. 당시 이홍장이 서방국가와의 외교활동 중에 필요성을 느껴 서태후에게 건의 후 정해졌다.

04 18826월 일본식 군제 도입과 민씨 정권에 대한 반항으로 일어난 구식군대의 군변(軍變)을 말한다.

05 태극기 연구 전문가 송명호는 시사신보(일본 도쿄에서 발행된 일간신문, 18823~ 1936) 1882102일자에 있는 태극기가 최초라고 주장하고 있다. 한편 20041, 국내 언론에서는 지금까지 발견된 태극기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추정되는 태극기 그림을 소개했다. 18827월 미 해군성이 발간한 해상 국가들의 깃발이란 책에는 태극기의 모습이 나타나 있는데 그 책의 서문에는 1882719일 미 상원에서 3,000부를 제작해 각 기관에 분배하기로 결의했다고 나와 있다.

06 주역참동계를 지은 위백양은 역에서 감리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은 건괘(乾卦)와 곤괘(坤卦)가 기본이다. 기본이 되는 건곤 두 개의 괘가 서로 왕래하고 변화되어 나머지 괘들을 만드니 곧 건과 곤은 부모의 괘라고 할 수 있다. 건곤 두 괘는 본체요, 감리 두 괘는 그 작용인 것이다.”

관련글 더보기 인쇄

Copyright (C) 2009 DAESOONJINRIHOE All Rights Reserved.
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강천로 882 대순진리회 교무부 tel : 031-887-9301 mail : gyomubu@daesoon.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