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너별 보기
   daesoon.org  
대순137년(2007) 9월

이전호 다음호

 

도전님 훈시 종단소식 상제님의 발자취를 찾아서(11) 대순사상 탐구 도인탐방 수기 독자 코너 대순학생회 대학생 코너 포토에세이 대원종 답사기 _ 중국 인물소개 아름다운 세시풍속 금강산 이야기 고사 한마디 종교산책 철학과의 만남 영화 속으로 이달의 책 & 십자말 맞추기 알립니다

아름다운 세시풍속 : 한가위[秋夕]

한가위[秋夕]

 

 

 

 

  우리 속담에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는 말이 있다. 한가위가 덥지도 않고 춥지도 않을 뿐더러 한 해 농사를 끝내고 오곡을 수확해 명절 중에서도 가장 풍성한 시기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한가위는 우리 민족의 4대 명절(설, 단오, 한식, 한가위)에 들어간다. 이런 점에서 한가위의 유래와 어원(語源), 그리고 우리 조상들이 한가위를 어떻게 보냈나를 살펴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한가위는 추석, 가배일(嘉俳日), 중추절(仲秋節), 가위, 가윗날 등으로도 불리는데, ‘크다’는 뜻의 ‘한’과 ‘가운데’라는 뜻의 ‘가위’라는 말이 합쳐져 8월 한가운데에 있는 큰 날을 의미한다. 한가위를 신라시대에는 ‘가배’라고 불렀는데, 『삼국사기』에 “신라 제3대 유리왕(儒理王) 9년에 6부(六部)의 부녀자들을 두 편으로 나누어 두 왕녀들로 하여금 그들을 이끌게 했다. 음력 7월 보름부터 길쌈을 시작하여 음력 8월 보름(한가위)까지 짜게 하여 짠 베의 품질과 양을 살펴서 승부를 결정하게 했다. 지는 편에서 술과 음식을 차려 이긴 편을 대접하게 하였다. 이때 노래와 춤을 추며 놀았는데 이를 ‘가배’라고 불렀다.”는 기록이 있다.

  민간에서는 한가위 무렵에 ‘올게심니’라는 풍속이 있었는데, 가장 잘 익은 벼·수수·조 등 곡식의 이삭을 한 줌으로 묶어서 기둥 또는 방문 위나 벽에 걸어두었다. 이는 다음해에 그 곡식들의 풍년을 기원하는 것인데, 이때에 떡·술·닭을 마련하여 이웃과 함께 잔치를 열기도 했다. 올게심니를 하였던 곡식은 밥이나 떡을 해서 조상의 사당에 올려 제사를 지내고, 다음해에 종자로 쓰기 위해서 무슨 일이 있어도 먹지 않았다. 또 ‘밭고랑 기기’라고 하여 음력 8월 14일 밤에 사내아이들이 밭에 가서 발가벗고 자기 나이 수만큼 밭고랑을 기는 일이 있었는데 이렇게 하면 밭농사가 풍년이 되고 아이들의 몸에 부스럼이 나지 않고 건강해진다고 믿었다. 그리고 어촌에서는 만선(滿船)을 기원하는 뱃고사를 지냈다.

  한가윗날의 대표적인 명절식으로 햇곡식으로 빚어 만든 송편이 있다. 송편의 모양새를 보고 처녀들은 미래의 낭군을, 임산부들은 송편을 먹어보고 속이 잘 익고 덜 익었는가에 따라 장차 태어날 태아의 성별을 점쳐 보기도 하였다. 그리고 햅쌀로 빚은 술[신도주(新稻酒)01, 일명 백주(白酒)], 또 지방에 따라서는 토란으로 단자(團子)02을 만들거나 국을 끓여 먹었으며 녹두나물, 인절미, 무우와 호박을 섞어 찐 시루떡 등이 있다.

  한가위에는 강강술래·줄다리기·가마싸움03·서당놀이04·소놀이05·거북놀이06 등 갖가지 민속놀이가 다채롭게 벌어졌다. 이 중에서 줄다리기는 수십 명씩 참여하게 되는데 공동체의 단결력을 겨루어 승부에 따라 농사의 풍·흉을 점치기도 하였다. 이처럼 한가위에 하는 놀이들은 다른 세시풍속보다 수십 명씩 단체로 하는 것들로 되어 있었는데, 주로 마을 사람들의 화합과 단합된 모습을 이끌어 내는 성향을 가지고 있다.

  1년 중 가장 큰 보름달을 맞이하는 한가위는 햅쌀로 술과 떡을 빚고 이 땅에서 난 산물로 갖가지 음식과 오색과일을 갖추어 조상에 차례를 지내고 하늘에 감사하는 데 그 뜻이 있다. 그리고 분산되어 있는 가족과 이웃이 모여 협동하고 화목하며, 풍부한 음식을 서로 나누어 먹고 우애와 화목을 다지며, 조상의 은덕을 추모(追慕)하는 마음을 갖기도 했다.

 

 

 

 

 

 


01 추석 무렵에 햅쌀과 누룩, 밀가루를 원료로 하여 빚은 전통주로서 그해 처음으로 거두어들인 햅쌀로 빚어 맑고 깨끗하며 깊은 단맛이 난다.

02 찹쌀로 만들어 속에 소를 넣고 꿀을 발라 고물을 묻힌 떡.

03 서당의 학동들이 추석날 노는 틈을 타 수십 명씩 편을 갈라 바퀴달린 가마를 만들어 먼저 상대편의 가마를 부수는 팀이 이기는 놀이.

04 학동들 중에서 공부를 많이 했고 재치있는 사람을 원님으로 선발하고 나머지 학동들은 백성이 되어 원님께 소장을 내어 그 판결을 받는 놀이.

05 마을 사람들이 멍석을 쓰고 소 모양으로 가장하여 집집마다 찾아다니는 지신밟기의 일종이다.

06 소 대신 거북 모양으로 가장하여 집집마다 찾아다니며 거북이 뜻하는 장수를 축원했던 놀이.

관련글 더보기 인쇄

Copyright (C) 2009 DAESOONJINRIHOE All Rights Reserved.
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강천로 882 대순진리회 교무부 tel : 031-887-9301 mail : gyomubu@daesoon.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