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너별 보기
   daesoon.org  
대순137년(2007) 6월

이전호 다음호

 

도전님 훈시 종단소식 상제님의 발자취를 찾아서(7) 도장 둘러보기 답사기 2007 춘계체육대회 춘계체육대회 사진전 당선작 춘계체육대회 백일장 수상작 대순학생회 대학생 코너 포토에세이 대만도교방문단 취재기 대원종 인물소개 금강산이야기 고사 한마디 아름다운 세시풍속 종교산책 상생의 길 철학과의 만남 영화 속으로 이달의 책 & 십자말 맞추기 알립니다

철학과의 만남 : 만물 속에 생동하는 변증법(辨證法)의 원리

만물 속에 생동하는 변증법(辨證法)의 원리

 

 

글 교무부

 

 

 

  어느 고운 봄날, 한 동자와 늙은 스승이 동산을 거닐고 있었다. 때마침 민들레 꽃씨 하나가 바람에 실려 동자의 작은 손에 놓이자 스승은 비로소 말을 건넨다.

  “동자야, 이 꽃씨 속에 숨 쉬는 우주가 보이느냐?”

  “요렇게 작은 꽃씨 속에서 어떻게 우주를 볼 수 있는지요?”

  “잘 듣도록 하여라. 만물의 이치는 크고 작은 것을 따지지 않고 세상 모든 곳에 깃들어 있다. 이 씨앗이 싹을 틔우고 든든한 줄기로 뻗어 잎과 꽃을 피우고 씨앗을 맺는 것, 그것이 우주의 모습이다.”

  “스승님, 깨달음이 오질 않사옵니다.”

  “태초의 우주를 씨앗에 비유해 보거라. 그 씨앗 속에는 앞으로 만물의 모습으로 펼쳐질 모든 재료들이 아무런 모습도 없이 잠자고 있다. 그 후 씨앗 속에 잠자던 재료들이 조화를 이루어 수만 가지 모습으로 드러나는 것이 우주의 흐름이다. 고로 만물은 흩어져 대립해 있지만, 하나의 근본에서 나와 서로에게 영향을 주며 역사를 일구어가는 것이란다. 흩어지고 모이는 가락이 한 없이 반복되듯이 말이다. 결국, 진리와 덕으로 바라보는 만물은 서로 한 몸이지.”

 

 

  이 세계와 그 속의 무수한 존재들, 그들은 과연 어떠한 원리에 의해 존재해 나가는 것일까? 독일의 철학자 헤겔은 그 심오한 문제에 대해 변증법이라는 답변을 제시했다. 사전적 의미로 변증법은 모순 혹은 대립을 근본 원리로 하여 인간의 사유나 만물의 전개 방식을 설명하려는 논리이다.

  변증법의 원리는 세 가지 개념을 거쳐 이해해 볼 수 있는데, 첫 번째는 대립(對立, Gegensatz)의 개념이다. 만물은 상반되는 관계에서 서로 규정되며 또한 그것을 통해 발전의 원동력을 마련한다. 예를 들어 남성이 남성으로 규정될 수 있는 것은 남성과 반대되는 개념인 여성이 있기 때문이며 그 역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 둘은 상반되는 성질을 가지고 서로의 결핍된 부분에 영향을 줌으로써 상호발전하게 된다.

  두 번째는 지양(止揚, Aufheben)의 개념이다. 지양이란 상반되는 두 대상이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다가 결국은 진보된 상태로 하나가 되는 것을 말한다. 그것은 남성과 여성이 진실한 사랑을 주고받는 발전적인 과정을 거쳐 완전한 일체성을 형성하는 것에서도 엿볼 수 있다. 남녀가 정신적으로 한 마음이 되고 육체적으로 새 생명을 탄생시키는 것, 그 모두를 지양의 결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세 번째는 전일성(全一性, Alleinheit)의 개념이다. 따로 떨어져 대립하고 있는 여러 대상들이 사실은 하나의 유기체라는 것이다. 즉, 동일한 근본에서 뻗어 나와 갖가지 모습으로 흩어져 있는 이들은 전체로 두고 볼 때 완전한 하나이다. 그래서 인류의 모습도 변증법을 통해 바라보면, 여러 인종으로 흩어져 피부색을 달리 하는 그들이 결코 서로에게 남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변증법은 비단 만물의 모습에서뿐만 아니라 우리의 의식 속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우리가 스스로를 반성할 때를 살펴보자. 반성은 의식의 거울 앞에 서서 자신을 비추어보는 것으로 비유될 수 있는데, 그 거울 앞에 설 때 원래의 자신과 거울 속의 자신으로 나누어져 서로간의 대화가 가능해진다. 하나였지만, 반성을 통해 둘이 되어 나누는 대화의 장, 그것이 의식의 변증법이다. 그것으로써 인간은 자신의 내면을 살펴 고쳐가며 더 나은 단계로 나아갈 수 있는 것이다.

  변증법을 이해하면서 상극과 대립의 진통을 겪고 있는 인간사의 현실과 함께 헤겔의 말 한마디를 떠올리게 된다. “사랑은 타인의 모습에서 나 자신의 모습을 발견할 때이다.” 이 말은 전 인류의 일체성을 느끼게 하는 아름다운 표현으로, 상생에 목마른 인간의 영혼에 단비가 되어줄 듯하다. 그렇다면 지금, 해원상생을 실천함에 그 사랑을 곁들여 보는 것은 어떨까. 평소 미워했던 누군가의 모습에서 나의 모습을 발견해보는 것으로.

 

 

 

알아봅시다

 

변증법 : (영)dialectics, (독)Dialektik, (프)dialectique.

어원은 ‘말하다’라는 뜻의 그리스어 legein과 ‘~을 통하여’를 뜻하는 dia가 합쳐진 dialigein이다. 좁은 의미로는 물음과 대답을 통해 진리에 도달하려는 대화기법을, 큰 의미로는 헤겔의 변증법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말하는 변증법은 큰 의미로서의 변증법을 지칭하는데, 이 변증법은 대립하는 요소들 사이의 역동적이고 풍요로운 상호작용을 의미한다. 즉 변증법은 정(정립), 반(반정립), 합(종합)의 3단계의 과정으로 모든 만물과 인간의 사고가 발전하여 완성된다고 보는 이론이다. 헤겔의 변증법은 마르크스와 엥겔스에 이르러 유물론과 결합되어 변증법적 유물론으로 전개된다.

헤겔(Hegel, Georg Wilhelm Friedrich, 1770~1831)

독일 관념론 철학의 집대성자이다. 독일 슈투트가르트 출생이며 뷔르템베르크 공국 재무관의 아들로 태어났다. 1788년 튀빙겐대학교 신학과에 입학하여 시인 횔덜린(Hlderlin), 철학자 셸링(Schelling)과 깊은 우정을 나누었다. 1807년 밤베르크 신문의 편집장, 1808년 뉘른베르크 중고등학교 교장 겸 교수를 거쳐 1816년에는 하이델베르그대 교수가 되었다. 2년 후 훔볼트대학으로 옮겨 61세에 사망했다. 그의 대표작에는 정신현상학(1806~1807), 논리학(1812~1816), 철학강요(1817), 미학(1820~1829), 법철학 원리(1821~1831), 역사철학강의(1837) 등이 있다.

헤겔의 철학 체계는 논리학, 자연철학, 정신철학의 3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전 세계에 공통적으로 내재해 있는 원리가 바로 모든 사물의 전개(展開)를 정(正)·반(反)·합(合)의 3단계로 나누는 변증법(辨證法)이다. 헤겔에 의하면 정신이 곧 절대자이며 자연은 절대자가 자기를 외화(外化)해 드러낸 결과물인 것이다.

그의 철학은 비록 관념론적 형이상학이라는 비판과 반발을 얻기도 했지만, 역사성을 중요시한 점에서는 19세기 역사주의적 경향의 새 지평을 연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변증법이라는 이론만으로도 사상사(思想史)에 커다란 의미를 가진다.

 

 

 

관련글 더보기 인쇄

Copyright (C) 2009 DAESOONJINRIHOE All Rights Reserved.
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강천로 882 대순진리회 교무부 tel : 031-887-9301 mail : gyomubu@daesoon.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