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너별 보기
   daesoon.org  
대순141년(2011) 12월

이전호 다음호

 

도전님 훈시 종단소식 상제님의 발자취를 찾아서(63) 청계탑 『전경』속 역사인물 대원종 치성 이야기 금강산 이야기 28수 별자리 온고지신 일각문(一覺文) 답사기 대순광장 독자코너 동양고전 읽기의 즐거움 대순문예 알립니다

일각문(一覺文) : 미운 아기 오리

미운 아기 오리

 

 

글 교무부

 

  햇살이 눈부신 어느 아름다운 시골에 오래된 저택이 한 채 있었다. 이곳에 어미 오리 한 마리가 둥지를 틀고 앉아 알을 품고 있었다. 아기 오리가 하나 둘 껍질을 깨고 나왔지만 그중 제일 큰 알은 깨지 않았다. 할미 오리가 그 알은 칠면조 알이니 괜한 고생하지 말라 하였지만 어미 오리는 여태 고생했는데 조금만 더 지켜보고 싶다며 계속 알을 품어서 드디어 큰 알이 깨졌다. 아기 오리가 울음소리와 함께 한 바퀴 회전하며 나왔는데 정말 크고 못생긴 아기 오리였다.

  미운 아기 오리는 다른 아기 오리들에게 못생겼다며 놀림과 따돌림을 당하고 닭들에게 쪼이고, 새 모이를 주러 오는 여자 아이한테도 발길로 차였다.

  미운 아기 오리는 도망쳤다. ‘이게 다 내가 못생겨서 생긴 일이야!’ 아기 오리는 이렇게 생각하며 달음질쳐 들오리가 살고 있는 큰 늪에 다다랐다. 이틀째 되는 날에 두 마리 수컷 기러기가 날아와 이야기하다가 두 기러기는 사냥꾼이 쏜 총에 맞아 죽었다. 사냥이 시작된 것이다. 아기 오리는 간이 콩알만해져 갈대숲에 몸을 감추었다. 사냥개가 옆에 나타났지만 다행히 아기 오리는 무사했다. 총소리가 나고 탄알이 숲을 날아다녔다.

  아기 오리는 늪에서 빠져나와 밭과 초원을 달려 저녁 무렵에 한 허름한 농가에 다다랐다. 비스듬히 열린 문틈으로 들어가 보니 할머니가 고양이와 닭과 함께 살고 있었다. 할머니는 아기 오리를 길 잃은 살찐 오리로 착각하고 오리 알을 먹을 심산으로 함께 키웠는데 이곳에서도 닭과 고양이는 저마다 알을 낳는 것과 등을 동그랗게 구부리는 능력으로 잘난 척하며 아기 오리를 무시하였다. 아기 오리는 이곳을 떠나 밖으로 나갔지만 못생긴 외모 탓에 아무 동물도 상대해 주지 않았다.

  가을, 어느 해질 저녁 무렵 커다란 새떼가 수풀을 날아올랐다. 아기 오리는 여태껏 이렇게 아름다운 새를 본 적이 없었다. 몸은 빛이 나는 것처럼 새하얗고 목선은 유연하고 길었다. 백조의 무리였다. 아기 오리는 그 우아한 새들을 한없이 부러워하며 감히 자신도 저 새들처럼 되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을 하였다.

  어느새 추운 겨울이 되어 아기 오리는 수면의 물이 얼어 꼼짝없이 죽게 생겼는데 지나가던 농부가 아기 오리를 발견하고 나막신으로 얼음을 깨뜨려 집으로 데리고 돌아갔다. 아이들이 오리와 함께 놀려고 다가오자 피해의식에 사로잡힌 아기 오리는 자신을 괴롭히는 줄 알고 달아나다 집안을 온통 난리법석으로 만들었다. 눈 속으로 뛰쳐나간 아기 오리는 혹독한 겨울을 고통 속에 보냈다.

  봄이 왔다. 아기 오리는 날개를 퍼덕여 보았다. 그러자 몸뚱이가 전보다 가볍게 들리면서 공중을 날 수 있었다. 앞쪽 덤불 속에서 눈부시게 새하얀 백조 세 마리가 헤엄치며 나타났다. 자기처럼 못생긴 새가 다가가면 죽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면서 아기 오리는 머리를 쭉 내밀며 죽음을 기다렸다. 그때 투명한 물 위에 비춰진 자신의 모습을 보았다. 그것은 모두가 싫어한 못생긴 아기 오리가 아니라 근사한 백조의 모습이었다, 큰 백조들은 미운 아기 오리를 둘러싸고 헤엄치면서 자신들의 부리로 깃털을 쓸어주었다.

  그때 작은 아이들 두서너 명이 정원으로 나와 빵 조각을 던지며 말했다.

  “저기 새로운 백조가 있다!”

  “내가 본 백조 중에 가장 아름다워! 젊고 아름답고!”

  나이 많은 백조들이 새로운 백조에게 고개를 숙여 인사했다. 젊은 백조는 매우 행복했다. 하지만 결코 우쭐대지 않았다. 참된 아름다움은 결코 뽐내거나 우쭐거리지 않기 때문이다. 백조는 지금까지 자신이 얼마나 학대받고 바보 취급을 당했는지 떠올렸다. 하지만 지금은 여러 아름다운 백조 가운데서도 가장 아름답다는 칭찬을 받고 있다. 백조는 부드러운 바람에 날개를 살랑거리며 가느다란 목을 쭉 폈다. 그리고 마음속으로 기뻐서 외쳤다.

  ‘미운 아기 오리였을 때는 이처럼 행복한 날이 올 줄은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어!’

 

 

 

  ‘미운 아기 오리’는 덴마크의 동화작가 안데르센(Andersen, 1805~1875)의 자전적 동화 작품입니다. 안데르센은 가난한 구두수선공의 아들로 태어나 11세에 아버지를 여의고 어린 시절을 불우한 환경에서 보냈습니다. ‘미운 아기 오리’에는 자신의 작품을 세상이 알아주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참고 견디어야 한다는 점과 시련과 고통 속에 얻은 성공에 자만하지 않고 겸허해야 한다는 교훈이 담겨져 있습니다.

  이 이야기는 우리 도인들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오나요? 백조가 될 ‘미운 아기 오리’의 운명은 장차 도통군자가 될 우리 도인들의 운명과 닮았습니다. 미운 아기 오리가 백조가 되는 것이나, 기어 다니던 애벌레가 창공을 나는 나비가 되는 것이나, 우리가 도를 닦아 지상신선을 실현하는 것이 비유적으로 다 같은 것입니다. 문제는 자신이 백조인 줄을 깨닫지 못하고 다른 평범한 오리들과 같지 못한 것을 한탄하며 커다란 덩치와 긴 목, 회색빛 깃털을 원망하면서 마음고생을 하는 데 있습니다. 일반 오리와 비교하여 자신이 부끄럽다고 느끼는 바로 그것이 사실은 일반 오리는 흉내도 낼 수 없는 자신의 능력인데 말이죠.

  남보다 학벌이 없다고, 남보다 재물이 없다고, 남보다 이름이 없다고, 그래서 남 보기에 부끄럽다고 느끼는 도인이 있다면 자신을 못생겼다고 비관하는 ‘미운 아기 오리’의 신세와 무엇이 다를까요. 백조가 되는 것은 아기 오리의 예쁜 모습이나 부드러운 털, 짧은 목으로 되는 것이 아니듯이 인간이 도통을 하는 것은 학벌이나 재리(財利), 명리(名利)를 가지고 이루는 것이 아닙니다. 여러분이 스스로 다른 사람과 비교하여 열등하게 여겨 숨기고 싶은 것이 있다면 그것이 바로 여러분의 능력이라는 점을 기억하세요. ‘미운 아기 오리’의 운명은 백조가 되는 것입니다. 아기 백조가 오리로는 될 수 없는 것입니다.

  “삼일수심(三日修心) 천재보(千載寶), 백년탐물(百年貪物) 일조진(一朝塵)”01이라는 말이 있듯이 인간이 지상신선이 되는 것은 물질을 탐하여 이루는 것이 아니라 마음을 닦아 정직하고 진실한 인성(人性)의 본질을 회복함으로써 이루는 것입니다.

  모든 시련과 고통을 겪고 백조가 된 ‘미운 아기 오리’는 미운 아기 오리였을 때는 이처럼 행복한 날이 올 줄은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다고 말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지상신선을 실현할 운명을 가지고 있는 도인들이 마음에 새길 『전경』 성구가 있습니다.

 

 

 “이제 너희들이 지금은 고생이 있을지라도 내가 단식하여 식록을 붙여 주고 여름에는 겹옷을 겨울에는 홑옷을 입어 뒷날 빈궁에 빠진 중생으로 하여금 옷을 얻게 함이니 고생을 참을지어다. 장차 천하 만국을 주유하며 중생을 가르칠 때 그 영화는 비길 데가 없으리라.” (예시 82절)

 

 

 

참고문헌

ㆍ우라야마 아키토시 저/ 구혜영 역, 『어른들을 위한 안데르센 동화』, 베텔스만, 2004.

 

 


01 삼 일 동안 닦은 마음은 천 년의 보배가 되고, 백 년 동안 탐한 재물은 하루아침에 티끌이 되느니라. 『초발심자경문(初發心自警文)』

 

관련글 더보기 인쇄

Copyright (C) 2009 DAESOONJINRIHOE All Rights Reserved.
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강천로 882 대순진리회 교무부 tel : 031-887-9301 mail : gyomubu@daesoon.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