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너별 보기
   daesoon.org  
대순140년(2010) 3월

이전호 다음호

 

도전님 훈시 종단소식 상제님의 발자취를 찾아서(41) 청계탑 『典經』속 역사인물 인물소개 포토에세이 취재기 금강산 이야기 『典經』용어 『典經』민속자료 28수 별자리 온고지신(溫故知新) 그림 이야기 답사기 수기 독자코너 독자사연 대학생코너 대순논단 과학 그곳에서 알립니다

『典經』용어 : 『典經』 용어 : 열풍뇌우불미~용마름

『典經』 용어

 

 

글 교무부

 

ㆍ열풍뇌우불미(烈風雷雨不迷) : 공사 2장 9절/117쪽.

몹시 거세게 바람이 불고 천둥소리와 함께 비가 내려도 길을 잃어 헤매지 않음.

이 말의 출전은 『서경(書經)』의 「우서(虞書)」 <순전(舜典)>인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愼徽五典 五典 克從 納于百揆 百揆時敍 賓于四門 四門 穆穆 納于大麓 烈風雷雨 不迷

(요가 순에게) 오륜을 삼가 아름답게 하라 하니 오륜이 잘 퍼지게 하였고, 백규(百揆 : 영의정에 해당하는 자리)의 직책을 맡기니 그 직무를 잘 처리하였다. 사대문에서 손님을 맞이하게 하니 거기에 화목함이 넘쳐났고, 큰 숲 속에 들어가게 하였더니 열풍(烈風 : 맹렬한 바람)과 뇌우(雷雨 : 천둥 번개가 치고 비가 옴)에도 정신을 잃지 않았다.

 

 

ㆍ영가무도(詠歌舞蹈) : 행록 2장 2절/17쪽.

김일부(金一夫)가 고안해 낸 수련법.

김일부는 선천세계의 병폐는 일년이 365와 1/4일로 되어 있어서 모든 도수가 어그러진 데서 비롯되었으며, 후천이 되면 하늘의 도수가 360일 정각(正刻)으로 바뀌기 때문에 지상천국이 도래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선천에서 후천으로 넘어가는 과정에는 하늘의 심판이 있는데 이러한 때 살아남기 위해서는 음·아·어·이·오(吟····)의 다섯 가지 소리로 구성된 오음주(五音呪)를 송주(誦呪)해야 한다는 구체적인 수련법을 주장하였다. 처음에 음·아·어·이·오의 다섯 개의 모음을 크게 소리 내어 부르는데 노래 곡조와 같이 오음주의 음을 높고 낮게, 길고 짧게, 맑고 탁하게 하는 등의 조절을 하면서 계속해서 외우면 외우는 기운이 자연에 산재되어 있는 오행적인 기운과 합하면서 손발이 저절로 움직여 춤이 나오게 된다고 한다. 이때 부르는 노래를 영가(詠歌)라 하고 자동적으로 나오는 춤을 무도(舞蹈)라 부른다. 그래서 김일부나 그의 제자들이 만든 교단을 당시 사람들은 ‘영가무도교’라고 불렀다고 한다.

 

 

ㆍ영귀(榮貴) : 예시 58절/330쪽.

지체가 높고 귀함.

 

 

ㆍ영재(英才) : 행록 1장 32절/13쪽.

탁월한 재능이나 지능을 가진 사람 또는 소유자.

 

 

ㆍ예악문물(禮樂文物) : 공사 3장 18절/138쪽.

예의범절과 각종 정치, 경제, 종교, 예술, 법률 등의 문화에 관한 모든 것을 통틀어 이르는 말.

 

 

ㆍ예지(豫知) : 교운 1장 11절/156쪽. 권지 1장 1절/262쪽.

어떤 일이 일어나기 전에 미리 앎.

 

 

ㆍ예팽신(曳彭神) : 제생 11절/294쪽.

신명의 이름.

「기문둔갑장신법」에 나오는 술법 중에 무거운 물건을 끌어올리는 ‘인중법(引重法)’이 있는데, 이에 따르면 부적을 왼손에 붙이고 인중주(引重呪)를 9번 읽으면 무거운 돌이나 쇠붙이를 능히 들어올리거나 끌어당길 수 있다고 한다. 바로 이 인중주에 예팽신의 이름이 보인다. 引重呪(인중주) - 예팽신(曳彭神) 임행신(任行神) 성란신(城蘭神) 압령기달(押令基達) 평부수원(萍浮隧願) 급급여율령(急急如律令) 훔()

 

 

ㆍ오곡(五穀) : 교법 3장 38절/257쪽. 권지 2장 19절/282쪽.

다섯 가지 주요 곡식인 쌀·보리·조·콩·기장을 뜻하는 말. 모든 곡물을 지칭하기도 한다.

 

 

ㆍ오동(梧桐) : 행록 4장 5절/57쪽.

‘오동나무’의 준말.

오동나무는 키가 15m에 달하는 한국 특산식물이다. 원형 또는 오각형의 잎은 길이가 25cm 정도이며 뒷면에 별 모양의 갈색 털이 있다. 자주색의 꽃이 5 ~ 6월 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로 달리며 꽃잎과 꽃받침은 각각 5장이다.

옛말에 “봉황은 대나무 열매가 아니면 먹지 않고 오동나무가 아니면 깃들지 않는다.”라고 할 만큼 귀하게 여기던 나무였다. 생장은 빠른 편이고 목재는 얇은 판으로 만들어도 갈라지거나 뒤틀어지지 않아 거문고·비파·가야금 등의 악기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고, 가구재로도 많이 쓰였다.

 

 

ㆍ오룡허풍(五龍噓風) : 행록 2장 12절/20쪽.

다섯 마리의 용이 동서남북 사방과 하늘 위에서 거칠게 불어대는 일진광풍.

 

 

ㆍ오매(烏梅) : 공사 1장 18절/104쪽.

매화 열매를 한약재로 만든 것.

덜 익은 푸른 매실의 껍질을 벗겨 대바구니에 담아 굴뚝 위에 놓아서 연기에 검게 그슬려 만든다. 오매는 회충을 없애고 구토, 해소, 설사를 멈추게 하는 작용을 한다.

 

 

ㆍ오방신장(五方神將) : 행록 2장 10절/20쪽, 4장 39절/73쪽.

동서남북과 중앙의 5방위를 각각 재해나 액으로부터 지키는 다섯 신장. 오방신 혹은 오방장군이라고도 한다.

오행에 의하면 동서남북과 중앙의 다섯 방위는 각각 청(靑)·백(白)·적(赤)·흑(黑)·황(黃)의 색깔을 띄는데, 이 색깔에 따라 각 방위를 지키는 신장들의 이름을 각각 청제(靑帝)·백제(白帝)·적제(赤帝)·흑제(黑帝)·황제(黃帝)라고 부른다. 『典經』 교운 2장 42절의 오방주(五方呪)를 보면 이 오방신장에 대한 자세한 명칭이 나오는데, 그것은 ‘동방공조태충천강청제장군(東方工曹太沖天靑帝將軍), 남방태을승광소길적제장군(南方太乙勝光小吉赤帝將軍), 서방전송종괴하괴백제장군(西方傳送從魁河魁白帝將軍), 북방등명신후대길흑제장군(北方燈明神后大吉黑帝將軍), 중앙황제장군(中央黃帝將軍)이다.

한편 불교에서도 동서남북 사방을 지키는 사천왕(四天王)과 중앙을 지키는 수호신을 합하여 오방신이라는 것이 있는데, 사천왕은 동쪽에 지국천왕(持國天王), 서쪽에 광목천왕(廣目天王), 남쪽에 증장천왕(增長天王), 북쪽에 다문천왕(多聞天王)이고 중앙의 수호신 이름은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불교의 오방신은 사천왕을 오방신으로 확장시켜 보는 개념으로 도교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

『고려사』 등을 보면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시대 성종·예종·인종(1000년∼1200년경) 시절부터 조선 초기까지 오방신장에 대한 치성을 모셨다. 그때 불렸던 오방신장의 명칭은 청제이동방천(靑帝二東方天), 적제이남방천(赤帝二南方天), 황제이중앙천(黃帝二中央天), 백제이서방천(白帝二西方天), 흑제이북방천(黑帝二北方天)이다.

 

 

ㆍ오색채운(五色彩雲) : 행록 1장 29절/12쪽.

다섯 가지 색의 아름다운 구름. 경운(景雲), 자운(紫雲), 서운(瑞雲)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햇무리와 같이 태양을 중심으로 한 것이 아니라, 구름의 가장자리가 아름다운 색으로 빛나 보이는 것이다. 이런 현상은 미소한 구름입자에 의한 빛의 회절현상으로 인해 생기는데, 여러 빛깔이 너무 고와서 예전에는 상서로운 징조로 여겨졌다.

 

 

ㆍ오선위기(五仙圍碁) : 행록 5장 15절/87쪽, 5장 21절/89쪽. 공사 2장 3절/114쪽, 3장 6절/131쪽. 예시 28절/318쪽, 66절/332쪽, 67절/333쪽.

(풍수에서) 다섯 신선이 바둑판 주위에 둘러있는 형상의 지세.

다섯 선인(仙人)이 바둑을 두는데, 복판에 바둑판을 놓고 두 선인씩 짝이 되어 마주앉아 바둑의 승부를 가리고, 한 사람은 바둑의 주인격이 되는 형국을 말한다.

 

 

 

ㆍ오십년 공부 종필(五十年工夫終畢) : 교운 2장 66절/220쪽.

도주님께서 1909년 만주 봉천으로 가실 때부터 1958년 화천하시기까지 오십 년 동안의 공부를 끝내어 마치심.

도주님께서는 1958년에 화천하시면서 직접 ‘오십년 공부 종필’이라고 밝혀 주셨다. 이를 감안하여 공부기간을 계산해보면, 1909년 기유년 4월 28일에 부친과 함께 고국을 떠나 이국 땅인 만주 봉천(현재는 심양)으로 가실 때부터 도주님의 공부는 시작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ㆍ오주(五呪) : 공사 1장 28절/108쪽. 공사 2장 16절/120쪽. 교운 1장 30절/168쪽. 교운1장 59절/180쪽. 예시 88절/339쪽.

상제님께서 정미년(1907) 섣달 스무 사흘에 신경수의 집에서 지으신 다섯 주문.

新天地家家長歲 日月日月萬事知

侍天主造化定永世不忘萬事知

福祿誠敬信 壽命誠敬信 至氣今至願爲大降

明德觀音八陰八陽 至氣今至願爲大降

三界解魔大帝神位願天尊關聖帝君

 

 

ㆍ옥조빙호(玉藻氷壺) : 교운 2장 50절/214쪽.

옥 받침대 위에 얼음을 넣은 항아리. 깨끗하고 맑은 마음을 가지라는 뜻.

옥조(玉藻)는 옥으로 된 받침대를 뜻하고, 빙호(氷壺)는 ‘얼음같이 맑은 마음이 티없는 옥항아리에 있다’라는 빙심옥호(氷心玉壺)의 줄임말이다.

 

 

ㆍ옥편(玉篇) : 예시 34절/320쪽.

한자의 음과 뜻을 부수와 자획에 따라 분류하여 설명한 한자사전.

 

 

ㆍ와사증(斜症) : 행록 4장 36절/71쪽.

중풍(中風) 증상의 하나로서 입과 눈이 비뚤어지는 병.

 

 

ㆍ와우형(臥牛形) : 행록 4장 9절/58쪽. 교운 1장 12절/157쪽.

풍수지리(風水地理)에서 누운 소처럼 보이는 산의 형세.

소는 성격이 온순하며 강직하다. 그리고 음식을 먹을 때 종종 누워 먹는다. 그러므로 와우형은 안산(案山 : 집터나 묏자리의 맞은편에 있는 산)에 곡초형(穀草形)의 사(砂 : 정기(精氣)가 모인 자리의 주변 생김새)가 많이 쌓일 것을 요한다. 그러면 염려없이 누워 먹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지형에 터를 잡으면 대대로 누워 먹을 수 있는 행복한 자손들이 나온다고 하지만, 소는 새끼를 낳는 수가 적기 때문에 자손 번식은 어느 정도 떨어진다고 한다.

 

 

ㆍ왕대 : 제생 41절/308쪽.

대나무의 한 종류. 고죽, 왕죽, 참대, 황죽이라고도 한다.

높이는 20미터 정도이고 대나무 가운데 가장 굵으며, 잎은 긴 타원형의 피침 모양이고 작은 가지 끝에 3~5개씩 달린다. 죽순이 쓴맛이 나서 고죽(苦竹)이라고도 한다. 땅속줄기가 길고 줄기는 둥근 마디 사이의 한쪽이 평탄하거나 홈이 패어있다.

 

 

ㆍ왕후장상(王侯將相) : 공사 2장 19절/122쪽.

제왕(帝王)과 제후(諸侯), 장수(將帥)와 재상(宰相)을 아울러 이르는 말.

 

 

ㆍ외당(外堂) : 행록 1장 34절/14쪽.

조선시대의 주택에서 남자 주인이 일상 거처하는 곳. 사랑채.

자 주인은 안채와 바깥 행랑채 사이에 위치한 이곳에서 생활을 하고 손님도 대접하였다.

 

 

 

ㆍ외면수습(外面收拾) : 교법 2장 18절/237쪽.

남에게 보이기 위한 겉치레 행동.

 

 

ㆍ욕속부달(欲速不達) : 공사 3장 41절/150쪽. 교법 2장 34절/240쪽.

성급하게 서두르면 일이 성사되기 어렵다는 뜻. 일을 빨리 하려고 하면 도리어 이루지 못함.

이 말의 용례는 『논어(論語)』 제13장 「자로(子路)」편에서 찾아볼 수 있다.

子夏爲父宰, 問政. 子曰, “無欲速, 無見小利. 欲速, 則不達, 見小利, 則大事不成.” 자하가 거보 땅의 재상이 되어 정치하는 일을 공자에게 물으니,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급히 서둘지 말며 적은 이득을 꾀하지 말지니, 급히 하고자 하면 통달치 못하고 적은 이득을 보면 큰 일을 이룰 수 없다.”

 

 

ㆍ용둔(龍遁) : 행록 5장 18절/87쪽.

기문둔갑에 나오는 용어로 구둔(九遁)의 하나.

구둔은 천둔(天遁), 지둔(地遁), 인둔(人遁), 풍둔(風遁), 운둔(雲遁), 용둔(龍遁), 호둔(虎遁), 신둔(神遁), 귀둔(鬼遁)을 말한다. 이중 용둔은 인사명리(人事命理)의 영역에서는 기우제를 지내거나 수전(水戰)을 도모하는 등에 쓰이는 법술을 말하고, 도술 영역에서는 용으로 변신하거나 혹은 용의 기운을 사용하여 조화를 부리는 것을 말한다.

 

 

ㆍ용력술(用力術) : 예시 75절/335쪽.

괴력을 사용할 수 있게 해 주는 술법.

 

 

ㆍ용마름 : 행록 1장 15절/5쪽.

초가지붕의 제일 높은 곳을 덮기 위해 짚을 양 갈래로 지네처럼 길게 틀어 엮은 이엉(지붕이나 땅을 이는 데 쓰기 위하여 엮은 짚). 기와지붕에서는 기와로 길게 이으며 이를 용마루라고 한다.

 

 

 

 

 

 

※ 참고문헌은 매호마다 출처가 반복되어 기재될 수 있는 관계로 연재가 끝난 후 실을 예정입니다. 혹 문의사항이 있으신 분은 교무부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관련글 더보기 인쇄

Copyright (C) 2009 DAESOONJINRIHOE All Rights Reserved.
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강천로 882 대순진리회 교무부 tel : 031-887-9301 mail : gyomubu@daesoon.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