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너별 보기
   daesoon.org  
대순139년(2009) 11월

이전호 다음호

 

도전님 훈시 종단소식 상제님의 발자취를 찾아서(37) 『典經』속 역사인물 인물소개 대원종 고사 한마디 금강산 이야기 『典經』용어 『典經』민속자료 도장 둘러보기 기획연재 그림 이야기 특별기고 수기 독자코너 대순학생회 다시보는 우리문화 알립니다

『典經』민속자료 : 디딜방아

디딜방아

 

 

글 교무부

 

“…강 태공(姜太公)이 부국강병의 술법을 천하에 내어놓아 그 덕으로 대업을 이룬 자가 있되 그 공덕을 앙모하나 보답하지 않고 다만 디딜방아에 경신년 경신월 경신일 강태공 조작(庚申年庚申月庚申日姜太公造作)이라 써 붙일 뿐이니 어찌 도리에 합당하리요.…”(예시 22절)

 

 

  디딜방아는 발로 밟아서 곡식을 찧거나 빻는 농기구이다. 곡식 이외에도 떡이나 고추를 빻는 등 다양한 재료를 다루는 데에 요긴하게 쓰였으므로 부엌과 가까운 곳에 설치되었다. 지방에 따라 디딜방애, 딸각방아, 발방아, 돈방아, 드딤방아, 드딜방아, 손방아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그 유래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고구려의 생활상이 잘 묘사된 안악 제3호분 벽화에서 디딜방앗간의 장면을 찾아 볼 수 있다. 이것으로 보아 이미 삼국시대에 디딜방아가 쓰였음을 알 수가 있다. 『삼국사기』에는 중국 이름인 ‘대()’라 하였고, 우리말로 적은 최초의 책인 『원각경언해』에 ‘방아’라 기록되어 있다.

  디딜방아에는 다리가 가위다리 꼴로 갈라진 ‘양다리방아’와 다리가 곧게 뻗은 ‘외다리방아’로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중국을 비롯하여 동남아시아 대륙, 일본, 네팔, 인도 등에는 외다리방아뿐이고, 오직 우리나라만 양다리방아를 써왔다. 양다리방아는 독창성과 편리성을 가진 것으로 세계 어느 지역에서도 볼 수가 없다.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외다리방아를 나란히 설치하였지만 우리나라처럼 양다리방아를 만들어서 사용하지 못하였다.

  형태는 나무의 끝에 공이를 끼우고, 공이 반대편에는 두 갈래로 된 나무를 양쪽으로 세워서(볼씨), 그사이에 굵은 나무(쌀개)를 가로로 대어 방아의 받침을 설치한다. 확은 돌로 만들어 속이 파여져 있는데 작은 절구통을 땅에 묻어 대신하기도 한다. 이외에 곡식을 꺼내거나 공이 부분을 괴어 놓을 때 사용하는 괴밑대가 있다.

  양다리방아로 곡식을 찧을 때는 볼씨(받침점)와 다리(힘점) 사이가 가까워서 다리에 힘을 가할 때는 좀 더 많은 힘이 필요하다. 그러나 다리(힘점)의 운동에너지가 방아공이(작용점)에서 극대화되기 때문에 몇 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보통 1명이 방아에 올라서서 힘을 주면 다른 1명은 계속 확에 곡식을 집어넣는다. 4명까지도 올라갈 수 있고 넘어지지 않도록 위에서 늘어뜨린 방아줄을 붙잡고 방아를 찧는다. 디딜방아는 협동이 잘 되어야 효율성도 높고 힘이 적게 든다. 일할 때는 방아타령을 불러 신명을 돋우기도 하였다.

 

 

이 방아가 웬 방아냐                보은 속리 문장대에 

에 헤 방아 헤(받는 소리)         세조 대왕 놀아 있고 

강태공의 조작이로다              우리들은 놀 디 없이 

기산 영수 별건곤                   이 방아로 놀아 보세 

소부 허유 놀아 있고

- 전라북도 익산 지방의 방아타령

 

 

 

 

참고문헌

ㆍ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ㆍ한국민속사전 편찬 위원회, 『한국민속대사전』, 민족문화사, 1993
ㆍ김광언, 『디딜방아 연구』, 지식산업사, 2001

 

 

관련글 더보기 인쇄

Copyright (C) 2009 DAESOONJINRIHOE All Rights Reserved.
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강천로 882 대순진리회 교무부 tel : 031-887-9301 mail : gyomubu@daesoon.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