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너별 보기
   daesoon.org  
대순136년(2006) 12월

이전호 다음호

 

도전님 훈시 종단소식 답사기 특별기고 상제님의 발자취를 찾아서 청계탑 교리소개 수기 대순논단 포토에세이 대원종 독자코너 기자탐방 고사 한마디 금강산 이야기 아름다운 세시풍속 인물소개 종교산책 상생의 길 철학과의 만남 영화 속으로 이달의 책 & 십자말 맞추기 알립니다

아름다운 세시풍속 : 수세(守歲)

수세(守歲)

 

 

글 교무부

 

  저물어가는 한해에 대한 아쉬움과 새해에 대한 기대가 교차하는 요즈음 우리 주변에서는 망년회가 많이 벌어지지만, 사실 망년회는 일본에서 전래된 풍속이다. 그러므로 우리 선인들의 지혜가 담겨 있는, 묵은해를 보내는 전통 풍습을 알아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1년의 마지막 날인 음력 1230일 즉 섣달 그믐은 제석(除夕), 제야(除夜)라고도 불린다. 이날 궁궐에서는 연종제(年終祭)와 묵은해 문안을 올렸고, 민간에서도 묵은해 세배와 대청소, 수세(守歲), 세찬(歲饌) 만들기 등을 하였다. 그리고 한 해의 마지막 가는 밤이라 해서 저녁밥을 남기지 않고 다 먹으며, 바느질하던 것도 해를 넘기지 않게 하였다. 또한 시루떡을 쪄서 방안에 놓고 밥그릇에 쌀을 담아서 등잔불을 켜 놓아 불똥이 앉는 것을 보면 재수가 있다고 하였다.

  이중에서 수세는 집안 구석구석에 등불을 밝히고 가족이 둘러 앉아 밤을 새우는 풍속으로 고려시대 때부터 계속되어 왔다. 도교의 경신신앙(庚申信仰)1)에서 비롯된 수세는 방, , 곳간 할 것 없이 집안 구석구석에 불을 밝혔는데, 이것은 잡귀의 출입을 막기 위한 것이라 한다. 또 이날은 조왕신이 하늘로 올라가 옥황상제님께 지난 1년 동안 집안의 살림살이와 가족들의 행동거지를 낱낱이 보고 하기 때문에 조왕신을 위해 부뚜막 솥 위에 불을 밝히기도 했다. 그리고 하늘에 오르사 좋은 일만 말해 주십사라든가 좋은 일은 많이, 나쁜 일은 조금 고해주십사라는 글을 써 붙여 빌었는데, 이를 조허모(照虛耗)’라고 하였다.

  이렇게 불을 밝히고 밤을 지새우며 아침을 맞아야 하는데, 만약 수세하지 않고 잠을 자면 눈썹이 희어진다고 했다. 그래서 닭이 울 때까지 윷놀이를 하거나 재미있는 이야기를 나누며 잠을 쫓는데, 만약 자는 사람이 있으면 눈썹에 밀가루나 쌀가루를 묻히고 잠에서 깨어나면 눈썹이 희어졌다고 놀려주기도 했다.

  온 집안에 불을 밝히고 조왕신에게 빌며 놀이와 이야기꽃으로 밤을 하얗게 지새우던 섣달 그믐은, 우리 선조들에게는 차분하게 가는 한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던 날이었으니 요즘처럼 정신없이 떠들썩하고 흥청거림은 꿈에도 생각지 못할 일이었던 것이다.

 

 

 

알아봅시다

 

망년회(忘年會)

망년회는 일본의 풍속으로 한 해의 노고를 잊는다(忘年)’는 뜻이다. 일본에서는 1,400여 년 전부터 망년 또는 년망(年忘)이라 하여 섣달 그믐께 친지들끼리 어울려 술과 춤으로 흥청대는 세시 민속이 있었는데, 이것이 망년회의 뿌리가 되었다. 지난 1876년 강화도 조약이 체결된 이후 부산원산인천의 세 항구를 개항하고 서울에 일본인 외교관과 상인들이 거주하면서부터 이 망년회 풍속이 우리나라에 슬그머니 들어와 퍼지게 되었다. 그래서 한때는 떠들썩하게 술 마시며 노는 망년회에 대한 자성(自省)이 촉구된 적도 많았다. 요즘에는 망년회라는 말이 일제의 잔재라고 해 송년회(送年會)라는 말로 고쳐서 쓰지만, 글자만 바뀌었을 뿐 흥청망청 정신없이 연말을 보내는 분위기는 여전히 변하지 않고 있다.

 

 

 


1) 경신일에 밤을 새우는 도교 신앙으로 수경신(守庚申)이라고도 한다. 60일에 한번씩 돌아오는 경신일이 되면, 형체 없이 사람의 몸에 기생하고 있던 삼시충(三尸蟲)이 사람이 잠든 사이에 몸 밖으로 빠져나가 옥황상제께 그 동안의 죄과를 낱낱이 아뢰어 수명을 단축시키기 때문에, 이를 막아 천수(天壽)를 다하려는 도교적인 장생법의 하나이다. 경신신앙은 중국에서 일찍부터 민간 신앙의 하나로 전승되어 오다가 송나라 때부터는 축제의 형태로 이어졌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풍습이 고려사고려 원종 6(1265) 4월 경신일에 태자가 연회를 베풀고 술을 마시며 밤을 세웠다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세조실록에도 세조 11(1465) 11월 경신일에 입직한 여러 장수와 승지 등에게 명하여 사정전에 모여 수경신(守庚申)하게 하고 내탕을 심히 후하게 내어 주었다고 적혀있다.

관련글 더보기 인쇄

Copyright (C) 2009 DAESOONJINRIHOE All Rights Reserved.
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강천로 882 대순진리회 교무부 tel : 031-887-9301 mail : gyomubu@daesoon.org